
1. 주요내용
- 2023년 12월 14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첨단로봇 산업 전략회의에서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을 발표
- 정부는 2030년까지 민관이 3조원 이상을 투자, 2021년 5조 6,000억원 수준이던 국내 로봇 시장을 20조원 이상으로 약 4배 증가 목표 제시
- 로봇 산업 기반 강화 차원에서 2021년 기준 44.4%인 부품 국산화율을 2030년 80%까지 향상
- 산업과 사회 전반 영역에 걸쳐 2030년까지 100만대의 로봇을 대규모로 투입해 활용한다는 양적 목표 제시
- 음식 서빙 로봇 등 식음료 자영업자를 위한 각종 로봇의 경우에는 2030년까지 30만대 보급 목표
- 국방·안전 분야에만 2만대의 '로봇 군경'이 투입되며, 병원, 요양원, 가정에 걸쳐 30만대의 돌봄·의료 로봇 보급을 목표로 제시
- 재활 로봇 의료수가 반영, 의료 취약 지역의 수술 로봇 실증, 인공지능 반려 로봇 보급, 돌봄 로봇 공적 급여 제공 등 추진
- 정부는 2024년부터 2028년까지 5년간 대구 달성군 16만6973㎡ 부지에 약 2,000억원을 들여 국가 로봇 테스트 필드 조성
- 정부는 2030년까지 로봇 산업 인력을 1만 5,000명 이상 양성해 로봇 산업 발전을 지원
2. 시사점
- 정부는 세계 1위의 로봇 밀도로 높은 성장잠재력을 보유한 로봇산업에 3조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 및 100만대 보급 등 적극적인 지원 추진
- 투자 및 보급 지원과 함께, 수가, 실증, 보급, 공적급여 및 테스트 필드, 인력 등 산업 성장을 위한 제도, 인프라 및 인력 지원 추진
- 우리나라 정부의 공격적인 로봇 산업 육성 정책으로 국가 로봇 산업 성장과 함께 인력 문제 완화 기대
3. 출처
1) 내용출처 : 2030년까지 로봇 100만대 보급 …'3조원+α' 투자, 아시아경제(2023.12.14)
2) 원문링크 : https://view.asiae.co.kr/article/2023121415093324937
4. 관련 이미지

이미지출처 : 픽사베이(PIXABAY)
1. 주요내용
- 2023년 12월 14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첨단로봇 산업 전략회의에서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을 발표
- 정부는 2030년까지 민관이 3조원 이상을 투자, 2021년 5조 6,000억원 수준이던 국내 로봇 시장을 20조원 이상으로 약 4배 증가 목표 제시
- 로봇 산업 기반 강화 차원에서 2021년 기준 44.4%인 부품 국산화율을 2030년 80%까지 향상
- 산업과 사회 전반 영역에 걸쳐 2030년까지 100만대의 로봇을 대규모로 투입해 활용한다는 양적 목표 제시
- 음식 서빙 로봇 등 식음료 자영업자를 위한 각종 로봇의 경우에는 2030년까지 30만대 보급 목표
- 국방·안전 분야에만 2만대의 '로봇 군경'이 투입되며, 병원, 요양원, 가정에 걸쳐 30만대의 돌봄·의료 로봇 보급을 목표로 제시
- 재활 로봇 의료수가 반영, 의료 취약 지역의 수술 로봇 실증, 인공지능 반려 로봇 보급, 돌봄 로봇 공적 급여 제공 등 추진
- 정부는 2024년부터 2028년까지 5년간 대구 달성군 16만6973㎡ 부지에 약 2,000억원을 들여 국가 로봇 테스트 필드 조성
- 정부는 2030년까지 로봇 산업 인력을 1만 5,000명 이상 양성해 로봇 산업 발전을 지원
2. 시사점
- 정부는 세계 1위의 로봇 밀도로 높은 성장잠재력을 보유한 로봇산업에 3조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 및 100만대 보급 등 적극적인 지원 추진
- 투자 및 보급 지원과 함께, 수가, 실증, 보급, 공적급여 및 테스트 필드, 인력 등 산업 성장을 위한 제도, 인프라 및 인력 지원 추진
- 우리나라 정부의 공격적인 로봇 산업 육성 정책으로 국가 로봇 산업 성장과 함께 인력 문제 완화 기대
3. 출처
1) 내용출처 : 2030년까지 로봇 100만대 보급 …'3조원+α' 투자, 아시아경제(2023.12.14)
2) 원문링크 : https://view.asiae.co.kr/article/2023121415093324937
4. 관련 이미지
이미지출처 : 픽사베이(PIXAB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