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주요내용
- 스마트빌리지 사업은 ICT 기술을 활용해 지역사회의 디지털화를 촉진하고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
※ 주요 우수사례
· 김해시 및 청주시 : 3단계 자율작업 트랙터를 개발하여 농업 현장에 자율작업 서비스 제공 및 운행·고장정보 등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 신안군 : 드론·인공지능(AI) 기반의 갯벌어장 낙지자원량 산정
· 증평군 : 무인드론 기반 농업 방제 서비스
· 삼척시 및 강진군 : 지능형 영상 보안관
· 완주군 : 지능형 쓰레기 불법투기 방지 서비스
· 강진군 : 생활 폐기물 제로화 및 에너지화
· 거제시 : 스마트 주차정보 공유 서비스
· 장성군 : 농기계 사후관리 지원 플랫폼
· 진안군 : 진안고원을 잇는 비대면 민원영상 서비스
· 대전 유성구 및 부천시 : 비대면 여가·복지 서비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4년 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 사업 예산 1,039억원을 최종 확정(2023년 예산 632억)
-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기획해 예산을 신청하는 방식으로 2024년 전국 78개 지자체 99개 과제를 통해 다양한 지역에서 스마트 서비스 모델 도입
※ 2024년 주요 추진 사업
· 성남시 : 로봇 활용 주민생활시설 돌봄 및 교육 서비스 확산 사업 시행
· 안양시 : 디지털트윈 기반 스마트 인공지능 노약자 안심서비스 도입 추진
· 인천시 : AI 기반 다중이용시설 대피유도안내시스템 보급·확산, 친환경 스마트도로 열선시스템 구축
· 청주시 : VR·AR 기반 발달장애인 디지털 재활 서비스 구축
· 부여군 : 외국인 계절 근로자 관리 시스템 도입
· 홍성군 : 스마트 버스정류장 및 횡단보도 등 구축
2. 시사점
- 지역 주민의 편의성 향상 및 지역사회가 직면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 로봇, 드론, VR·AR 등 다양한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
- 디지털 기술의 도입 범위는 일상생활에서 농축수산업까지 폭넓은 범위에 도입
-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기획하여 예산을 신청하는 방식의 효과는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관련 사업은 보다 확대될 것으로 전망
3. 출처
1) 내용출처
- 과기정통부, 스마트빌리지 사업 전국 99곳으로 확대…1039억원 투입, 파이낸셜뉴스(2024.01.02)
- 스마트빌리지사업 우수사례,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2.06)
2) 원문링크
- https://www.fnnews.com/news/202401021224107784
4. 관련 이미지

이미지출처 : 스마트빌리지사업 우수사례,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2.06)
1. 주요내용
- 스마트빌리지 사업은 ICT 기술을 활용해 지역사회의 디지털화를 촉진하고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
※ 주요 우수사례
· 김해시 및 청주시 : 3단계 자율작업 트랙터를 개발하여 농업 현장에 자율작업 서비스 제공 및 운행·고장정보 등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 신안군 : 드론·인공지능(AI) 기반의 갯벌어장 낙지자원량 산정
· 증평군 : 무인드론 기반 농업 방제 서비스
· 삼척시 및 강진군 : 지능형 영상 보안관
· 완주군 : 지능형 쓰레기 불법투기 방지 서비스
· 강진군 : 생활 폐기물 제로화 및 에너지화
· 거제시 : 스마트 주차정보 공유 서비스
· 장성군 : 농기계 사후관리 지원 플랫폼
· 진안군 : 진안고원을 잇는 비대면 민원영상 서비스
· 대전 유성구 및 부천시 : 비대면 여가·복지 서비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4년 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 사업 예산 1,039억원을 최종 확정(2023년 예산 632억)
-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기획해 예산을 신청하는 방식으로 2024년 전국 78개 지자체 99개 과제를 통해 다양한 지역에서 스마트 서비스 모델 도입
※ 2024년 주요 추진 사업
· 성남시 : 로봇 활용 주민생활시설 돌봄 및 교육 서비스 확산 사업 시행
· 안양시 : 디지털트윈 기반 스마트 인공지능 노약자 안심서비스 도입 추진
· 인천시 : AI 기반 다중이용시설 대피유도안내시스템 보급·확산, 친환경 스마트도로 열선시스템 구축
· 청주시 : VR·AR 기반 발달장애인 디지털 재활 서비스 구축
· 부여군 : 외국인 계절 근로자 관리 시스템 도입
· 홍성군 : 스마트 버스정류장 및 횡단보도 등 구축
2. 시사점
- 지역 주민의 편의성 향상 및 지역사회가 직면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 로봇, 드론, VR·AR 등 다양한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
- 디지털 기술의 도입 범위는 일상생활에서 농축수산업까지 폭넓은 범위에 도입
-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기획하여 예산을 신청하는 방식의 효과는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관련 사업은 보다 확대될 것으로 전망
3. 출처
1) 내용출처
- 과기정통부, 스마트빌리지 사업 전국 99곳으로 확대…1039억원 투입, 파이낸셜뉴스(2024.01.02)
- 스마트빌리지사업 우수사례,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2.06)
2) 원문링크
- https://www.fnnews.com/news/202401021224107784
4. 관련 이미지
이미지출처 : 스마트빌리지사업 우수사례,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