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 & Trend Monitor



Issue & Trend Monitoring

[KIPS]중국 가성비 휴머노이드 로봇 출시 본격화 임박


1. 주요내용

  -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 삭스는 2024년 보고서에서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은 2035년에는 380억달러에 이를 것이며 당초 전망치 60억달러보다 6배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은 2021년 시장 규모는 5억 달러(약 7,239억 원)로 전년 대비 15.6% 성장했으며, 2022년에는 8억 달러(약 1조 1,581억 원)로 60%의 높은 성장을 기록함. 주요 응용 분야별 점유율을 보면 교육 분야가 60%로 가장 높고, 엔터테인먼트 15%, 의료 8% 순으로 나타남

- 중국의 주요 완성차 기업들은 자체 개발을 통해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에 적극 진출하고 있음. 샤오펑(Xpeng)은 2024년 11월 자체 개발한 AI 휴머노이드 로봇 아이언(Iron)을 발표했으며, 광저우자동차(GAC)는 2024년 말 제3세대 휴머노이드 로봇 고메이트(GoMate)를 공개하여 산업용 응용에 초점을 맞춤

- 2025년 2월 중국 유니트리로보틱스는 물건을 조립하고 야외에서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새 휴머노이드 로봇 모델을 선보였으며, 가격은 1만 6,000달러(한화 약 2,300만원)로 업계 평균 판매가의 5분의 1 수준임. 대상 기업은 경쟁사들보다 훨씬 저렴한 190만원짜리 로봇개로 전세계 4족보행 로봇시장의 70%를 장악함. 중국 유니트리로보틱스는 2026년까지 휴머노이드 로봇 생산능력을 크게 늘릴 계획

 - 2025년 3월 중국 즈위안(智元) 로보틱스는 물컵 전달, 식사 준비, 외빈 맞이, 테이블 청소, 음료 보충 등의 업무를 할 수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 애지봇 GO-1과 걷기, 달릭, 몸체회전, 춤추기 뿐만 아니라 자전거를 탈 수 있느 신제품 링시 X2를 발표함. 링시 X2는  (AI) 모델인 멀티모달 대형 언어모델(LMM)을 바탕으로 인간과 교감에도 뛰어남. 즈위안은 가성비 있는 가정용 휴머노이드 개발이 목표이며 약 5년이면 현실화될 수 있을 것이라 말함


2. 시사점

 - 세계적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이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중국 기업들의 공격적인 휴머노이도 제품 개발 및 출시 추세의 영향으로 중국 휴머노이드 시장은  급성장세를 나타냄

 - 향후 3~5년 내 우수한 성능 및 합리적인 가격을 보유한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제품 출시가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되며, 높은 가성비를 보유한 중국산 휴머노이드 로봇과의 경쟁에 대비할 필요


3. 출처

1) 내용출처

 -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3~5년 내 본격 상용화 '기대', 초이스경제(2025.02.02)

 - 中, 이번엔 '5분의 1' 값 휴머노이드 로봇…'가성비 AI' 경쟁 본격화, TV조선(2025.02.07)

 -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옮겨가는 中 완성차 업체들의 경쟁, 대외경제정책연구원(2025.02.07)

 - 무서운 中 AI, 물 따르고 테이블 치우는 휴머노이드 공개, 뉴스핌(2025.03.11)

 - 자전거 타는 중 휴머노이드 로봇…"사람 감정에 반응", SBS뉴스(2025.03.13)


2) 원문링크

 - https://www.choic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2080

 - https://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07/2025020790256.html

 - https://csf.kiep.go.kr/issueInfoView.es?article_id=56299&mid=a20200000000

 -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311000335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8018183&plink=ORI&cooper=NAVER


4. 관련 이미지 


이미지출처 : 즈위안로보틱스 홈페이지(https://www.agibot.com/products/A2)(2025.03.14) 인용



mobile background

Tel(10:00~18:00)

0507-1417-0443

Email

kips@kips.co.kr

Share

www.kip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