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주요내용
- 2023년 7월 중국 항저우에서 설립된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는 2023년 11월 첫 오픈소스 AI 모델인 딥시크 코더를 출시하고, 2024년 12월 딥시크V3(프론티어모델)을 출시했으며, 최근 2025년 1월 20일 딥시크-R1(추론특화모델)을 출시함
- 딥시크-R1은 오픈AI의 GPT-4o 및 메타의 라마3.1과 동등하거나 이를 상회하는 성과를 낸데 반해, 순수학습비용은 약 558만달러로 라마3 개발비의 약 1/10임. 또한, 사용한 칩은 수출규제 이슈로 H100대비 3-40% 성능 낮은 엔비디아의 H800(2,048개)를 사용했으며 훈련기간은 약 2개월 반에 불과. 특히, 딥시크-R1의 학습방식은 일반적인 모델학습 핵심방법론인 강화학습으로 다수의 AI 모델들이 활용하고 있는 방법이나, 높은 최적화 수준으로 낮은 연산비용 대비 높은 성능을 창출함
- 딥시크 R1 및 V3은 오픈소스로 공개했으며, 누구나 소스 코드를 열람하고 수정·배포할 수 있음.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에서 AI 모델 기능을 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요금을 오픈AI, 구글, 메타 등과 비교해 최대 95% 낮게 책정. 이러한 가격 정책의 영향으로 최근 오픈AI도 최신 모델인 o3-mini 모델을 모든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하기로 결정
- 특히, 딥시크의 글로벌 시장 충격 요인은 고성능 AI 모델을 구현함에 있어 높은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임. 이에 따라 AI 칩 대표주인 엔비디아는 2025년 1월 27일 하루에만 주가가 17% 폭락하며 시가총액 846조원이 증발되는 등의 딥시크 쇼크가 진행 중
2. 시사점
- 딥시크의 낮은 개발 비용 및 짧은 학습 기간, 저렴한 사용료와 함께 오픈소스 공개의 영향으로 글로벌 AI 산업 빠르게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되나, 딥시크의 데이터 유출 논란 및 데이터 무단 도용 의심과 함께, 미국, 대만, 일본 등 주요국 정부 부처의 딥시크 사용 금지 추세가 확산되고 있음에 따라 향후 귀추를 주목할 필요
3. 출처
1) 내용출처 :
- 중, 첨단 반도체 없이 첨단 AI ‘딥시크’ 개발…실리콘밸리 화들짝, 경향신문(2025.01.27)
- 딥시크는 '파괴神'?…AI 산업 활성화 새장 열어, 연합뉴스(2025.02.01)
- 딥시크가 뭐길래, 미 증시까지 출렁?, 뉴시안(2025.02.01)
- 딥시크 : 소수의 AI에서 모두의 AI로, SW 주목, 상상인증권(2025.01.31)
2) 원문링크 :
- https://www.khan.co.kr/article/202501270700055
- https://www.yna.co.kr/view/AKR20250131127300008?input=1195m
- https://www.newsi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579
4. 관련 이미지

이미지 출처 : 딥시크 홈페이지(https://www.deepseek.com/)(2025.02.02) 인용
1. 주요내용
- 2023년 7월 중국 항저우에서 설립된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는 2023년 11월 첫 오픈소스 AI 모델인 딥시크 코더를 출시하고, 2024년 12월 딥시크V3(프론티어모델)을 출시했으며, 최근 2025년 1월 20일 딥시크-R1(추론특화모델)을 출시함
- 딥시크-R1은 오픈AI의 GPT-4o 및 메타의 라마3.1과 동등하거나 이를 상회하는 성과를 낸데 반해, 순수학습비용은 약 558만달러로 라마3 개발비의 약 1/10임. 또한, 사용한 칩은 수출규제 이슈로 H100대비 3-40% 성능 낮은 엔비디아의 H800(2,048개)를 사용했으며 훈련기간은 약 2개월 반에 불과. 특히, 딥시크-R1의 학습방식은 일반적인 모델학습 핵심방법론인 강화학습으로 다수의 AI 모델들이 활용하고 있는 방법이나, 높은 최적화 수준으로 낮은 연산비용 대비 높은 성능을 창출함
- 딥시크 R1 및 V3은 오픈소스로 공개했으며, 누구나 소스 코드를 열람하고 수정·배포할 수 있음.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에서 AI 모델 기능을 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요금을 오픈AI, 구글, 메타 등과 비교해 최대 95% 낮게 책정. 이러한 가격 정책의 영향으로 최근 오픈AI도 최신 모델인 o3-mini 모델을 모든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하기로 결정
- 특히, 딥시크의 글로벌 시장 충격 요인은 고성능 AI 모델을 구현함에 있어 높은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임. 이에 따라 AI 칩 대표주인 엔비디아는 2025년 1월 27일 하루에만 주가가 17% 폭락하며 시가총액 846조원이 증발되는 등의 딥시크 쇼크가 진행 중
2. 시사점
- 딥시크의 낮은 개발 비용 및 짧은 학습 기간, 저렴한 사용료와 함께 오픈소스 공개의 영향으로 글로벌 AI 산업 빠르게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되나, 딥시크의 데이터 유출 논란 및 데이터 무단 도용 의심과 함께, 미국, 대만, 일본 등 주요국 정부 부처의 딥시크 사용 금지 추세가 확산되고 있음에 따라 향후 귀추를 주목할 필요
3. 출처
1) 내용출처 :
- 중, 첨단 반도체 없이 첨단 AI ‘딥시크’ 개발…실리콘밸리 화들짝, 경향신문(2025.01.27)
- 딥시크는 '파괴神'?…AI 산업 활성화 새장 열어, 연합뉴스(2025.02.01)
- 딥시크가 뭐길래, 미 증시까지 출렁?, 뉴시안(2025.02.01)
- 딥시크 : 소수의 AI에서 모두의 AI로, SW 주목, 상상인증권(2025.01.31)
2) 원문링크 :
- https://www.khan.co.kr/article/202501270700055
- https://www.yna.co.kr/view/AKR20250131127300008?input=1195m
- https://www.newsi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579
4. 관련 이미지
이미지 출처 : 딥시크 홈페이지(https://www.deepseek.com/)(2025.02.02)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