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주요내용
1) 산업연구원(2024), 국내 스타트업 투자유치 성장 퍼널 분석 결과
- 투자를 각 단계로 나누어 최초 투자가 최종적으로 어느 투자 단계까지 도달하는지를 살펴보는 스타트업 투자 단계별 퍼널 분석(Funnel Analysis) 결과, 국내 분석 대상 스타트업 중 최종적으로 엑싯(exit)에 성공한 사례는 시리즈 A 이전 단계에서 139개, 시리즈 A 단계에서 78개, 시리즈 B 단계에서 12개, 시리즈 C 이상의 단계에서 7개 등 전체의 6.1%인 236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미국의 엑싯(exit) 성공률 30.5%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

2) 산업연구원(2024), 국내 기업 생존 및 성장 결정 요인 분석 결과
- 이항 로짓 모형(binary logit regression model)을 통한 단계별 실증 분석 결과, 국내 기업 생존 및 성장에 단계별로 일관되게 유의한 영향력을 보인 변수로는 연구개발비, 설립일로부터 첫 투자까지 소요 기간, 첫 투자유치부터 시리즈 A 투자유치까지 소요 기간, 3개 대학(서울대, 카이스트, 포항공대) 출신 여부와 이공계 여부가 확인됨. 또한, 통계적 유의성은 확보하였으나 영향력 방향이 단계별로 차이가 있는 변수로는 업력 3년 미만, 자산이 해당되며, 영향력의 방향은 같으나 일부 단계에서만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한 변수 중 특허 보유 여부, 인건비, B2B & 플랫폼, TIPS 투자유치 여부 등은 유의성을 확보한 단계에서 투자유치에 긍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남

2. 출처
-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의 생존과 성장 조건, 산업연구원(2024.04.30)

1. 주요내용
1) 산업연구원(2024), 국내 스타트업 투자유치 성장 퍼널 분석 결과
- 투자를 각 단계로 나누어 최초 투자가 최종적으로 어느 투자 단계까지 도달하는지를 살펴보는 스타트업 투자 단계별 퍼널 분석(Funnel Analysis) 결과, 국내 분석 대상 스타트업 중 최종적으로 엑싯(exit)에 성공한 사례는 시리즈 A 이전 단계에서 139개, 시리즈 A 단계에서 78개, 시리즈 B 단계에서 12개, 시리즈 C 이상의 단계에서 7개 등 전체의 6.1%인 236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미국의 엑싯(exit) 성공률 30.5%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
2) 산업연구원(2024), 국내 기업 생존 및 성장 결정 요인 분석 결과
- 이항 로짓 모형(binary logit regression model)을 통한 단계별 실증 분석 결과, 국내 기업 생존 및 성장에 단계별로 일관되게 유의한 영향력을 보인 변수로는 연구개발비, 설립일로부터 첫 투자까지 소요 기간, 첫 투자유치부터 시리즈 A 투자유치까지 소요 기간, 3개 대학(서울대, 카이스트, 포항공대) 출신 여부와 이공계 여부가 확인됨. 또한, 통계적 유의성은 확보하였으나 영향력 방향이 단계별로 차이가 있는 변수로는 업력 3년 미만, 자산이 해당되며, 영향력의 방향은 같으나 일부 단계에서만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한 변수 중 특허 보유 여부, 인건비, B2B & 플랫폼, TIPS 투자유치 여부 등은 유의성을 확보한 단계에서 투자유치에 긍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남
2. 출처
-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의 생존과 성장 조건, 산업연구원(2024.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