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nning Database



Planning Database

[KIPS]한국-미국 교수 창업 모델 비교 및 주요 교수 창업 모델 장단점

KIPS


1. 주요내용

1) STEPI(2022), 한국 및 미국 교수 창업 모델 비교

- 한국과 미국의 교수 창업 모델을 비교하면 양국의 교수 창업 모델은 정반대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 

∙ 한국의 창업자 주도 모델 : 이 모델은 한국에서 교수 창업의 지배적인 모델로 한국은 창업자인 교수가 대주주로서 위험을 부담하고, CEO 등 주요 경영진을 담당.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대학은 상임직 겸직을 허용하는 휴・겸직 제도를 운영. 이 모델은 교수가 본업 외에 또 하나의 상임 직책을 맡는 구조라서 본업인 교육과 연구에 지장을 주게 되고, 교수 창업이 많으면 학과 운영에 차질이 생기기 때문에 확대에 한계

∙ 미국의 VC 주도 모델 : 이 모델은 미국에서는 정규직 교수가 창업할 때 택하는 지배적인 모델로 대부분의 미국 대학은 교수가 창업할 경우 Founder & Advisor 등 비상임직의 겸직만을 허용하고 CEO 등 상임직의 겸직을 허용하는 경우는 소수. 이런 제도적 배경 하에 미국의 교수 창업은 대체로 VC 주도로 이루어짐. 이 모델에서는 교수가 스타트업의 상임직을 맡지 않기 때문에 본업인 교육과 연구에 지장이 없고, 학과의 모든 교수가 이 모델로 창업해도 문제가 없어서 확장성도 좋음


2) STEPI(2022), 창업자 주도 모델 및 VC 주도 모델 장단점

- 창업자 주도 모델은 교수 창업자의 지분이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교수가 위험을 부담해야 하고, 교수직과 CEO를 병행하기가 너무 어렵다는 한계가 있음

- VC 주도 모델은 교수가 위험 부담 없이 창업할 수 있고, 창업 후에도 교수직과 스타트업 활동을 병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교수 지분이 작다는 한계가 있음


2. 출처

 - STEPI Insight, 한국과 미국의 교수 창업 제도 비교와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2022.05.10)


mobile background

Tel(10:00~18:00)

0507-1417-0443

Email

kips@kips.co.kr

Share

www.kip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