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nning Database



Planning Database

[KIPS]미국의 교수 창업 모델 및 교수 창업자 역할

KIPS


1. 주요내용

1) STEPI(2022), 미국의 교수 창업 모델

 - 기술 창업의 3대 요소인 기술, 경영, 자금의 역할 분담을 기준으로 미국의 교수 창업 모델을 분류해보면 3가지로 구분 가능 

창업자 = CEO 모델은 창업자가 CEO를 맡는 경우로, 기술 창업의 3대 요소 중 기술과 경영을 창업자인 교수가 담당하며, 자금은 SBIR과 같은 정부 연구비로 조달하거나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받아 마련
창업자 + CEO 모델은 창업자가 전문경영자를 CEO로 영입하거나, 처음부터 대학 외부 고경력 전문가와 공동으로 창업하는 경우로, 기술 창업의 3대 요소 중 기술은 창업자가 제공하고 경영은 전문경영자가 담당
VC 주도 모델은 벤처캐피탈(VC)이 교수와 처음부터 협의해서 VC 주도로 창업을 진행하며, 기술 창업의 3대 요소 중 기술만 창업자 교수가 제공하고 경영과 자금은 모두 VC가 담당


2) Rose & Patterson(2016), 미국 교수 창업자의 역할 및 범위

- 미국 창업 교수는 대부분 컨설턴트, 과학자문위원, 이사 등의 비상임직을 맡으며, CEO, CTO, CSO 등 상임직을 맡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이 경우 교수직을 떠남 


2. 출처

 - STEPI Insight, 한국과 미국의 교수 창업 제도 비교와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2022.05.10)


mobile background

Tel(10:00~18:00)

0507-1417-0443

Email

kips@kips.co.kr

Share

www.kips.co.kr